기타12 재현 재연 차이점 저번에 이은 시리즈 발음은 같은데 표기가 다른 맞춤법 비교입니다. 이번에는 '재연'과 '재현'의 차이점입니다. 이 경우는 앞선 이야기와 다르게 둘다 다른 뜻을 가지고 있지요. 1. 재연 : 어떤 상황이나 이야기를 다시 상연, 상영한다. 다시 그 일을 되풀이 해서 보여준다. (다시)'재'+(연기하다의)'연' 의 결합. 예) 상황을 재연하다. 연극으로 재연하다. 불행한 일을 다시는 재연하지 않도록 해야할 것입니다. 2. 재현 : 다시 나타냄. 다시 나타남. (다시)'재'+(현상, 현실의)'현' 의 결합. 예) 오늘 꾸었던 꿈속 장면이 아까전 머리속에서 재현되었다. 아주 오래전의 고대 시대 전쟁장면을 이 박물관에서 그대로 재현하였습니다. 재현 재연 차이점 잘 아셨나요? 2021. 1. 26. 금세 금새 차이점 늘 헷갈리는 맞춤법중 하나가 발음은 똑같은데 단어가 다른데 어떤게 맞는지 모를때죠. 그 중 하나가 바로 '금세'와 '금새' 입니다. 예를 우선 들어볼게요. 예) 아, 금새 찼네. 예) 야 금세 시간이 이렇게 됐냐? 빨리 가자. 의미는 다들 알고 계실겁니다. '지금 바로', '벌써' 이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그런데 쓸때는 금새가 맞을까요? 금세가 맞을까요? 정답은 바로 '금세'가 맞는 표기라고 하네요. '금세' = '금시에'를 줄인 용어라 합니다. 그래서 ㅅ ㅔ = ㅅ+ㅓㅣ 죠. 기억하세요! 금!세! 솨리질러! yay. 지금까지 금새 금세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고, 그 뜻도 살펴보았으니 궁금한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오늘의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 늘 행복하세요 :) 2021. 1. 25. 그러니까 그니까 차이점 짚기 우리말하다 보면 자주 쓰는 말이 많아요. 추임새처럼 넣기도 하고 중간중간 음 근데 이런 식으로 말 많이 하죠. 그니까 그러니까 이말도 마찬가지예요. 둘 다 자주 쓰는데 말하다 보면 상황에 따라 그러니까 쓰기도 하고 그니까 쓰기도 하고 그래요. 일전에 물어본 분들도 있는듯 하던데 저도 문득 궁금해진 게 이 두 용어 그러니까 그니까 이게 둘 다 표준어일까 하는 점이에요. 온라인 가나다를 통해 찾아본 답변은 결과적으로 둘 중에 한 개는 표준어고 하나는 아니다입니다. 표준어 : '그러니까'비표준어 : '그니까' 둘 다 쓰긴 하죠. 그렇지만 표준어는 둘 중에 '그러니까'입니다. 비슷한 예로 '그런데'와 '근데'가 있습니다. 하지만 이 둘은 둘 다 표준어라 볼 수 있습니다. 또한 '그렇지'를 '그지', '그제', .. 2020. 11. 2. 아다리 뜻 이거 올바른 표현인가요 친구랑 대화 나누다가 아다리가 맞다라는 이야기가 나왔어요. 저는 이게 틀린 표현이라고 했고 친구는 끝까지 아니라는거예요. 그래서 언쟁을 좀 하다가 말았는데 의미랑 올바른 표현을 찾아봤거든요. 그래서 기록 겸 여기다 남겨보려고 해요. 아다리 뜻 네이버 국어 사전에서 의미를 찾아보았는데 여러가지로 쓰이고 있었어요. 이중에 친구랑 나눈 의미는 무엇일까요..? (갑분 퀴즈입니꽈) 일본어 아다리의 표현이라는 부분이 맞겠죠..? (오픈사전 2번 항목 : 아다리 뜻 = 명중, 적중)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결과를 볼게요. 아다리는 틀린 표현이고 사실 (일본어 あたり)아타리가 정확하다고 해요. 게임회사 이름 아님. 이 뜻은 정확히 이야기 하면 아다리 뜻은 결국 적중, 수라는 말로 바꿔 쓸 수가 있다고 합니다. 버스가.. 2020. 10. 31. 전단 전단지 전단지라는 것은 영어로 flyer나 fier라 하는데 홍보를 위한 리플릿 같은것들을 말합니다. 거창하기 브로슈어 처럼 막 정성 들어간 거랑 반대로 간단하게 종이로 낱장으로 된 인쇄물 같은것을 일컫습니다. 우리가 매일 지나가면서 받거나 무시하는 전단지를 이야기하는데 보통 잘 안받지만 저는 전단지 알바하는 사람을 생각해서(비슷한 일을 했는데 받아주는 사람이 그렇게 고맙더라고요) 받고 조금 보고 휴지통에 버리거나 가다가 깔개같은게 필요하면 받기도 하고 뭐 등등 그러합니다. 전단지는 일본어로 지라스라는 뿌리다라는 용어에서 발전되어 찌라시라고 하기도 하는데 삐라 같은것을 말합니다. 다만 삐라는 정치적 목적으로 배포하는 전단을 의미하지요. 그렇다면 '전단지'는 올바른 표현의 단어 일까요? 이는 '전단(傳單)'+'지.. 2020. 10. 31. 샵 숍 맞는 영문 표기법은 어떻게 되나 영문 철자를 한글로 표기할 때 우리가 발음하는 것과 차아가 있는 단어가 있습니다. 그중 하나가 바로 'shop'이라는 단어입니다. 실제로 발음을 할 때 대부분 '샵'이라고 하실 겁니다. 하지만 'shopping mall'이라고 하면 '샤핑몰'이라고 하진 않고, '쇼핑몰'이라고 보통 부르지요. 샵 숍 그러면 어떤 게 맞는 표기일까요? ☞ 'shop'은 '샵'이라고 하지 않고 '숍'이라고 표기합니다. 그 이유는 영국식 발음에 따른 것입니다. 영국식으로는 [ʃɒp]이라고 해서 '숍'이라고 단어를 부릅니다. 반면 미국식의 경우는 우리가 대부분 발음하듯 [ʃɑːp] 즉, '샵'아라 합니다. 주로 우리나라의 영어 발음을 외래어로 표기할 때 정한 규칙에서는 대부분 영국식을 따라 심의가 된다고 하네요. 또 하나의 예를.. 2020. 10. 30. 이전 1 2 다음